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더 사실 9 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던 사실 9 다시 읽은 프로이트(Freud) -세계적인 명사가 되다(1906-1910까지)- 독일에서는 프로이트의 신경증에 대한 연구 논문들과 섹스 이론에 대한 연구들 그리고 정신분석에 대한 지지들은 미미 했다. 몇몇의 학자들의 참고 문헌에 프로이트의 이름.. 의학, 건강 2017.09.17
"영혼의 살인"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제 1 부 영혼의 살인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제 1 부 “영혼의 살인”(Soul Murder)이라는 말은 정신분석가들의 단골 메뉴로 많이 사용하는 낱말로써 강간을 당한 사람들의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한 말이다. 이 낱말 사용의 근원지는 뉴욕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센 골드가(Leon.. 의학, 건강 2017.09.15
새로운 강박증의 등장(치료 과정) 보고서 4 새로운 강박증의 등장(치료 과정) 보고서 4 강박증이 정신의학계에 등장을 한 것은 1895년에 프랑스에서 강박증과 공포증에 대한 보고서가 처음이라고 “프로이트의 삶과 업적”이라는 프로이트의 전기(傳記)(총 3권의 전집에서 제 1권에서: 주㈜ 참고)를 쓴 영국의 신경과 의사인 어네스.. 의학, 건강 2017.09.13
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더 사실 8 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던 사실 8 다시 읽은 프로이트(Freud) -꿈들의 해석 이후(1901- 1910년까지)- 프로이트의 전기를 쓴 어네스트 존(Ernest Jones)는 프로이트의 삶과 업적의 제 2권의 첫 번째 장(chapter)에서 프로이트를 1901년부터 1906년까지의 기간을 고립에서 탈출이라는 제목.. 의학, 건강 2017.09.13
조현병을 정신분석으로 완치한 경험이 있습니까? 조현병(정신분열증)을 정신분석적으로 완치한 경험이 있습니까? 우리나라에서 과거에 정신분열증을 최근에 조현병으로 부르고 있다는 것을 치료자도 최근에 알게 되었다. 조현병으로 고쳐 부르게 된 것은 정신분열증이라는 이름이 부정적으로 분열이라는 말이 들어간 것과 정신이 분열.. 의학, 건강 2017.09.10
신체 자아 이미지 왜곡 6 신체 자아 이미지 왜곡 6 프로이트는 그의 정신분석 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창안에서 우리 인간의 마음을 세 마리의 말이 끌고 가는 삼두마차에 비유를 했다. 즉 본능적으로 타고 나는 본능의 자아를 원초 자아로 그리고 부모님의 처벌의 목소리를 입사한 양심을 초자아로 그리고 현실에 .. 의학, 건강 2017.09.09
심리치료 과정에서 꿈 분석의 소개 6 심리치료 과정에서 프로이트의 꿈 분석 소개 6 프로이트는 1900년에 “꿈들의 해석”이라는 책으로 일약 세계적인 명사가 된 사람이다. 꿈 해석이라는 책은 대학생들이 읽어야 할 100대 선정 도서에 1순위로 들어있고 그리고 전 세계에서 명저로 널이 읽혀지고 있는 유명한 고전 서적이다. .. 의학, 건강 2017.09.07
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더 사실 7 프로이트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던 사실 7 다시 읽은 프로이트(Freud) -1900년대까지의 프로이트의 심리학- 프로이트는 자신이 평생 동안 연구한 연구 업적들 가운데서 가장 애지중지하는 최고의 걸작품으로 어느 작품을 염두에 두고 있는가?라는 제자들의 질문을 받을 때마다(대표.. 의학, 건강 2017.09.04
30대의 여교사가 초등학교 남학생과 사랑으로 섹스 관계를? 1 30대 여교사가 초등학교 어린이와 사랑으로 섹스 관계를? 1 결혼해서 자녀를 둔 32세의 초등학교 여교사가 왜 제자인 6학년 남자 어린이(12세)와 섹스관계를 하고 그것을 사랑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녀가 말을 하고 있는 사랑은 겉으로 보면 사랑처럼 보이지.. 의학, 건강 2017.09.02
자아의 성장과 발달 2 자아의 성장과 발달 2 자아가 성장하고 발달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아직도 우리는 자아가 무엇인지? 자아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자아가 존재하는지? 등의 문제들이 이해되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자아가 발달 하고 성장을 하는가?라는 질문 자체를 다룬다는 것은 말이 되지 .. 의학, 건강 2017.08.29